top of page
Featured Posts
Recent Posts
Archive
Search By Tags
Follow Us
  • Facebook Basic Square
  • Twitter Basic Square
  • Google+ Basic Square

시시비비를 정확하게 가리는 방법.

  • 작성자 사진: 無心
    無心
  • 2022년 3월 15일
  • 1분 분량

최종 수정일: 2022년 8월 15일





싸울 때는 원인이 있습니다. 원인 분석을 정확하게 하기 전에는 싸움에 간섭해서 누구 편을 들지 말라는 것입니다.


한쪽만 잘못이 있어서는

절대 싸움이 일어나지 않습니다.

잘못한 자가 70% 잘못했고,

잘못하지 않은 것 같은 자도 사실은

30% 잘못한 것입니다.


정확하게 잣대를 대면

분명히 나옵니다.

그렇지 않고는 서로 시비를

붙지 않습니다.


그래서 크게 잘못한 자가

"잘못했습니다."하고

먼저 사과를 하면 합의가 됩니다.

그런데 70% 잘못한 자가

사과는 하지 않고

30% 잘못한 자에게 "네가 잘못했잖아.

네가 사과하면 나도 사과 할게"

그러면 죽어도 해결되지

않습니다.


그러면 여기서

본인이 70% 잘못햇다는 것을

느낄 수 있는 방법은

무엇일까?


더 답답한 사람이

잘못한 것입니다.

더 답답한 사람이 약자 같지요?

하지만 그 사람이 죄인입니다.

그것도 큰 죄인입니다.

작은 죄인은

조금 덜 답답한 사람입니다.


부부끼리 싸울 때는

답답한 사람이 더 잘못한 것입니다.

그 사람이 원인 제공자입니다.

이렇게 시시비비를 가려보면

3 : 7로 딱 나옵니다.

그래서 답답한 사람이 죄인이라고

보면 됩니다.


도둑을 당하면

누가 답답합니까?

도둑입니까, 당한 사람입니까?

당한 사람입니다.

도둑이 답답하지 않습니다.

그러면 도둑을 당한 사람의 잘못이

70%인 것입니다.


그래서 당한 사람이 먼저

'내가 왜 도둑을 맞았을까?'를

짚어보면서

자신의 잘못을 찾아야 합니다.

자신의 잘못부터 찾고 나서

30% 잘못한 상대의 잘못도

묻고 싶으면

물어야 하는 것입니다.


도둑은 안 잡히면

잘 한 것입니다.

잡힌다 해도 이미 다 써버린

후이기에 나에게 돌아오는 것은

하나도 없습니다.

교도소에 가서 조금 있다

나오면 그 뿐입니다.


잠시 도둑질을 하지 못하고

휴식 하는 것일 뿐,

도둑맞은 사람에게 돌려주지

않습니다.

그래서 도둑맞은 사람이

답답한 것입니다.




사주 운세 궁합 신살 축원문 작명 행운번호 - 운신









 
 
 

Comments


단일 게시물: Blog_Single_Post_Widget

팔로우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Phone: +82050713087433, 02-723-4464

©2020 by 병무추명학연구소. Proudly created with Wix.com

bottom of page